데니스 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니스 홍은 한국항공우주학의 태두 홍용식 박사의 아들로, 로봇 공학자이자 UCLA 기계 항공 공학과 교수이며 로봇 연구소 로멜라(RoMeLa)의 설립자이다. 시각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를 개발하여 '워싱턴포스트' 등 여러 언론에 소개되었으며, 미국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찰리'와 교육·연구용 로봇 '다윈-OP' 등을 개발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 젊은 과학자상, TED 강연, 타임 지 최고 발명품상 등을 수상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통해 로봇과 인간의 공존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봇공학자 - 닉 보스트롬
스웨덴 출신 철학자 닉 보스트롬은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미래연구소 소장으로, 존재 위험, 인간 향상 윤리, 시뮬레이션 가설, 초지능 위험성 등 연구와 저서 《초지능》을 통해 인공지능 발전과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며 트랜스휴머니즘 및 미래학 분야 주요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 로봇공학자 - 한스 모라벡
한스 모라벡은 로봇 공학, 인공지능, 미래 기술 분야에 기여한 학자이며, 모라벡의 역설을 제안하고, 무어의 법칙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공지능과 로봇 발전에 대한 예측을 제시했으며, 저서 《마음의 아이들》에서 로봇의 진화와 인공 종의 등장을 예견했다. - 방배중학교 동문 - 정재곤
정재곤은 1974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꾸준히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다양한 시대극과 현대극을 통해 폭넓은 연기 경험을 쌓았다. - 방배중학교 동문 - 량현량하
량현량하는 형 김량현과 동생 김량하로 이루어진 2인조 듀오로, 2000년 데뷔하여 어린 나이에도 뛰어난 실력으로 주목받았으며, 2004년까지 3장의 앨범을 발표하고 연기 활동도 병행하다 2016년 슈가맨에 출연했다. - 서울반포초등학교 동문 - 싸이
1977년생 대한민국 가수 겸 음반 제작자인 싸이는 2001년 데뷔 후 독특한 스타일로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을 겪었고, 2012년 "강남스타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후 "젠틀맨", "행오버"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2019년 기획사 P NATION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 서울반포초등학교 동문 - 성시경
성시경은 2000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7장의 정규 앨범 발매와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며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데니스 홍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데니스 홍 |
원어 이름 | Dennis Hong |
![]() | |
출생일 | 1971년 1월 24일 |
태어난 곳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국적 | 미국 |
분야 | 로봇공학 |
소속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로멜라 |
출신 대학 | 고려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퍼듀 대학교 |
주요 업적 | 의수 및 의족 설계 시각장애인용 운전 보조 시스템 제작 재난 구조용 로봇 설계 및 제작 |
자녀 | 아들 홍이산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Dennis Hong |
2. 생애
데니스 홍은 홍용식 박사의 둘째 아들로 미국에서 태어났으나, 세 살 때 한국으로 돌아와 고려대학교 3학년 재학 중 다시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1] 퍼듀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버지니아텍에서 로봇 연구소 '로멜라(RoMeLa)'를 설립, 자연의 원리와 다양한 학문을 융합한 로봇 개발에 힘쓰고 있다.[1] 현재는 UCLA 기계항공공학과 교수이자 로봇공학자로 활약하고 있다.
미국립과학재단(NSF)의 ‘젊은 과학자상’, ‘GM 젊은 연구자상’, ‘미국자동차공학회(SAE) 교육상’ 등을 수상했다.[1]
2. 1. 시각장애인용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데니스 홍은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이 직접 운전하는 자동차를 개발했다. 무인 자동차를 시각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로 개량하여 워싱턴 포스트를 비롯해 미국 CBS, NBC, 영국 BBC, 일본 NHK 방송에 크게 소개됐다.[1] 워싱턴 포스트는 이를 ‘달 착륙에 버금가는 성과’라고 보도했다.[1] 2011년 TED 강연에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자동차’를 주제로 인간을 위한 기술 개발과 그 바탕인 창조력에 대해 이야기해 전 세계인들의 가슴을 울렸다.[1]2. 2.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미국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찰리'와 교육·연구용으로 소스를 공개한 '다윈-OP' 등을 개발했다.[1]로봇과 인간의 공존, 그리고 따뜻한 기술을 추구하며 화재 진압 및 재난 구조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힘쓰고 있다.[1]
3. 경력
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2007년 |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젊은 과학자상 (NSF CAREER Award) |
2007년 |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도시 자율주행 경진대회 3위 (94만달러) |
2009년 | 미국자동차공학회 랄프 R. 티터 교육상(Ralph R. Teetor Educational Award) |
2009년 | 《파퓰러 사이언스》 선정 브릴리언트 10[1] |
2009년 |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 동문회 선정 포워드 언더 40(Forward Under 40) 수상 |
2010년 | 퍼듀 대학교 동문회 선정 Forty under 40 |
2011년 | TED 강연 |
2011년 | 타임 지 최고 발명품상 |
2011년 | 로보컵 루이 비통컵(Louis Vuitton Cup) 최고 휴머노이드 로봇상 |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 로보컵 우승 |
2012년, 2014년 | 동아일보 선정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
2012년 | 펩시 선정 세계 최고의 두뇌 6인 |
2014년 | 다르파 재난구조 로봇 대회 결승팀 (Team THOR) |
2014년 | 한국 위스콘신 대학교 동문회상 (Alumni Award) |
2015년 | 미국 공학한림원(NAE) 길브레스 강연상(Gilbreth Lectureship) |
2015년 | 제5회 협성사회공헌상[2] |
참조
[1]
웹사이트
Professors Dennis Hong, Naren Ramakrishnan honored by alma mater Purdue University
http://www.vtnews.vt[...]
2010-07-15
[2]
웹사이트
Dennis Hong one of five recipients of the 5th 2015 Hyupsung Social Contribution Award
http://www.mae.ucla.[...]
2015-12-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인터뷰] 데니스 홍 박사 “최고 아웃풋은 학생, 미래의 슈퍼 히어로들” – 바이라인네트워크
‘2023 코엑스 푸드위크’ 22일 개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